국민체력100 남녀 연령별 1등급 인증 기준표와 측정 항목

국민체력100 남녀 1등급 인증 기준표와 측정 방법을 한눈에! 남녀 연령별 기준값부터 항목별 측정법, 결과가 말해주는 건강 상태까지 완벽 정리. 내 체력이 어느 수준인지 궁금하다면 지금 확인해 보세요. 

국민체력100 남녀 연령별 1등급 인증 기준표와 측정 항목



요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분들이 국민체력100 인증을 받고 계시는데요. 인증서를 받고 나면 "1등급이 정말 대단한 건가?" "내 점수가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서 어느 정도 수준인가?" 하는 궁금증이 생기실 거예요.

운동하는-건강한-남녀

오늘은 국민체력100의 1등급 인증 기준표를 남녀별, 연령별로 자세히 알아보고, 각 측정 항목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그리고 우리 몸에는 어떤 의미인지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체력 측정을 앞두고 계신 분들은 미리 준비할 수 있고, 이미 받으신 분들은 본인의 결과가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시죠!


가. 국민체력 남자 연령별 1등급 인증 기준표

건강체력 항목 5종

  • ①② 심폐지구력 측정 = 20m 왕복 오래달리기 (회) + 트레드밀/스텝검사 (ml/kg/min)
  • ③ 근력 측정 = 상대악력 (%)
  • ④ 근지구력 측정 = 교차윗몸 일으키기 (회)
  • ⑤ 유연성 측정 =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cm)

운동 체력 항목 4종

  • ⑥⑦ 민첩성 측정 = 10미터 왕복 달리기 (초) + 반응시간 (초)
  • ⑧⑨ 순발력 측정 = 제자리 멀리뛰기 (cm) + 체공시간 (초)

나이 20m
(회)
스텝
(분)
악력
(%)
윗몸
(회)
앞굽히기
(cm)
10m
(초)
반응
(초)
멀리뛰기
(cm)
체공시간
(초)
19~24 62 47.6 62.64 55 16.1 9.9 0.301 229 0.605
25~29 54 44.8 62.4 51 14.9 10.3 0.302 223 0.591
30~34 49 42.9 62.6 47 14.2 10.6 0.304 219 0.583
35~39 45 41.8 62.1 45 14 10.9 0.311 214 0.581
40~44 42 40.9 62.8 44 14.2 11.0 0.320 209 0.547
45~49 40 40.1 62.0 41 13.6 11.3 0.331 202 0.524
50~54 35 38.8 60.5 38 13.9 11.8 0.337 192 0.527
55~59 31 37.7 59.4 35 13.3 12.3 0.348 183 0.508
60~64 26 36.3 56.8 31 11.8 13.1 0.351 170 0.474


국민체력100-남자-1등급표


측정 항목별 측정 방법과 평가 항목

① 20m 왕복 오래달리기 (심폐지구력 측정)는 20m 거리를 정해진 신호음에 맞춰 왕복으로 달립니다. 신호음 간격이 점점 짧아지며, 한계에 도달할 때까지 달린 횟수를 측정합니다. 심장과 폐의 지구력, 즉 전신 지구력을 평가합니다.

② 트레드밀/스텝검사 (심폐지구력)는 트레드밀 위를 달리거나 스텝박스를 오르내리는 방식으로 심박수 변화와 운동 강도를 측정하여 최대 산소 섭취량(ml/kg/min)을 측정합니다. 심장과 폐의 지구력, 즉 전신 지구력을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③ 상대 악력 (근력 측정)은 측정 기구인 악력계를 이용해 양손의 악력을 측정합니다. 손의 최대 근력을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④ 교차 윗몸일으키기 (근지구력 측정)는 정해진 시간(1분) 동안 최대한 많이 윗몸일으키기를 실시합니다. 복부 근육의 지구력 및 코어 근력을 평가합니다.

⑤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유연성 측정)는 앉은 자세에서 허리를 숙여 손이 발끝을 얼마나 많이 넘는지 측정합니다. 신체의 유연성을 평가하는 항목입니다.

⑥ 10m 왕복 달리기 (민첩성)는 10m 거리를 정해진 신호음에 맞춰 왕복으로 빠르게 달리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짧은 거리를 민첩하게 움직이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⑦ 반응시간 (순발력 측정)은 불규칙적으로 켜지는 램프의 빛에 반응하여 버튼을 누르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신체의 반응 속도를 평가합니다.

⑧ 제자리 멀리뛰기 (순발력)는 제자리에서 힘껏 뛰어 최대한 멀리 착지한 거리를 측정합니다. 하체 근육의 폭발적인 힘, 즉 순발력을 평가합니다.

⑨ 체공시간 (순발력)는 점프한 후 공중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이는 하체 근육의 순간적인 파워를 평가하는 항목으로, 제자리 멀리뛰기와 함께 순발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나. 국민체력 여자 연령별 1등급 인증 기준표

나이 20m
(회)
스텝
(분)
악력
(%)
윗몸
(회)
앞굽히기
(cm)
10m
(초)
반응
(초)
멀리뛰기
(cm)
체공시간
(초)
19~24 30 36.8 46.8 36 19.7 12.3 0.332 162 0.479
25~29 28 36.0 47.0 33 18.5 12.7 0.343 156 0.466
30~34 26 34.8 49.6 31 18.2 12.9 0.347 154 0.464
35~39 25 34.2 47.5 31 18.9 13.0 0.348 155 0.453
40~44 24 33.8 47.1 30 18.8 13.1 0.345 153 0.442
45~49 23 33.0 46.2 28 18.9 13.4 0.350 148 0.431
50~54 21 32.3 44.7 24 19.5 13.8 0.354 138 0.407
55~59 18 31.3 43.2 20 19.5 14.5 0.369 129 0.402
60~64 15 30.2 41.9 17 19.6 15.3 0.387 120 0.393


국민체력100-여자-1등급표


1등급 인증 얼마나 대단하나요? (측정값의 의미)

국민체력100에서 1등급을 받는다는 것은 같은 연령대 성인 중에서도 상위 10%에 드는 체력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건강하다'는 수준을 넘는 수치로 꾸준히 운동하며 생활 습관도 좋고 자기 몸을 잘 관리하고 있다는 뜻이죠. 1등급이 가지는 의미는 일상생활을 활기차게 보내고 운동과 취미 활동도 마음껏 즐길 수 있을 만큼 체력이 뛰어나다는 뜻입니다.

국민체력100-인증-기준-페이지


각 측정 항목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심폐지구력 (20m 왕복 오래달리기)

심장과 폐가 얼마나 튼튼한지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검사죠. 심폐지구력이 좋으면 고혈압, 당뇨병 같은 성인병이나 심장 질환에 걸릴 위험이 줄어들고, 오래 활동해도 쉽게 지치지 않아 매일매일을 더 활력 있게 보낼 수 있습니다.

민첩성과 반응시간

갑작스러운 상황에 얼마나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길을 걷다가 미끄러질 때나 갑자기 방향을 바꿔야 할 때, 빠르게 몸의 균형을 잡아 넘어지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죠.

순발력

근육이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힘을 낼 수 있는 능력입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빠르게 뛰어야 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힘을 쓸 수 있어 일상생활이 한결 수월해집니다.

악력 (근력)

손아귀 힘이 세다는 것은 전신 근력이 골고루 발달했다는 신호입니다. 근육량이 충분하고 근력이 좋다는 뜻이라, 나이가 들어서도 활기차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복근 지구력 (교차 윗몸일으키기)

허리 주변 코어 근육이 얼마나 튼튼한지 보여줍니다. 코어가 단단하면 허리 아픔을 예방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유연성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관절이 얼마나 부드럽게 움직이고 근육이 얼마나 잘 늘어나는지를 측정합니다. 몸이 유연하면 운동할 때 다칠 위험이 줄어들고, 혈액 순환도 좋아져서 일상 동작을 더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요.



관련 글

1. 추천하는 자동차 관리 앱 TOP 5 혜택과 장단점 비교

2. 스피드메이트 엔진오일 교환 할인 방법 5가지(+비용 비교)

3. 단당류와 다당류의 차이점: 혈당/비만 건강 영향

4. 국민체력 1등급, 부족한 부분 강화하는 9가지 운동 방법



지금까지 국민체력100의 1등급 인증 기준과 각 측정 항목의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1등급을 받는다는 것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일상생활을 활기차게 보내고 각종 질병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탄탄한 체력을 갖추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등급에 너무 연연하지 마세요. 중요한 것은 꾸준한 운동을 통해 어제보다 나은 오늘의 나를 만들어가는 것이니까요.

혹시 아직 국민체력100 측정을 받아보지 않으셨다면, 가까운 체력인증센터에서 측정해보세요. 객관적인 통계 데이터로 현재 나의 체력 수준을 알려주므로 앞으로의 건강 관리 계획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건강한 몸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오늘부터라도 작은 변화를 시작해 보세요.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거나, 하루 30분씩 산책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출발점이 될 수 있답니다.

여러분 모두 건강하고 활기찬 일상을 보내시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