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 국가별 순위와 현황 모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재외동포의 거주 국가별 순위와 주요 현황 통계 모음입니다. 재외동포 주요 대륙별 현황과 2017년/2023년 변화, 거주 국가별 순위, 일본, 중국, 남아시아, 미국, 캐나다, 중남미, 유럽, 아프리카, 중동 국가별 재외동포 수와 영주권자, 유학생, 시민권자 수 정보입니다.
재외동포 국가별 순위와 현황 모음
재외동포 주요 대륙별 현황
구분 | 2017 | 2023 | 비율 |
---|---|---|---|
일본 | 818,626 | 802,118 | 11.33 |
중국 | 2,548,030 | 2,109,727 | 29.79 |
남아시아 | 557,791 | 520,490 | 7.35 |
미국 | 2,492,252 | 2,615,419 | 36.93 |
캐나다 | 240,942 | 247,362 | 3.49 |
중남미 | 106,794 | 102,751 | 1.45 |
유럽 | 639,584 | 654.249 | 9.24 |
아프리카 | 10,853 | 10,455 | 0.15 |
중동 | 24,707 | 18,939 | 0.27 |
미국과 캐나다, 유럽 쪽 동포 수가 증가하고 일본, 중국 등은 감소했습니다.
이 자료는 재외동포청이 격년으로 발간하는 "2023년 재외동포현황"의 통계 정보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으며 궁금한 점은 재외동포청 032-585-3161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원본 자료에는 각 세부 국가별, 대사관별, 영사관별 남녀 재외동포 인구 정보가 있습니다. 남녀 영주권자, 체류자, 유학생, 시민권자 인구수가 있어서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재외동포청에서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 재외동포 거주 국가 순위
순위 | 거주 국가 | 재외동포 수 |
---|---|---|
1 | 미국 | 2,615,419 |
2 | 중국 | 2,109,727 |
3 | 일본 | 802,118 |
4 | 캐나다 | 247,362 |
5 | 베트남 | 178,122 |
6 | 우즈베키스탄 | 174,490 |
7 | 호주 | 159,771 |
8 | 러시아 | 124,811 |
9 | 카자흐스탄 | 121,130 |
10 | 독일 | 49,683 |
11 | 브라질 | 47,544 |
12 | 영국 | 39,097 |
13 | 필리핀 | 34,148 |
14 | 뉴질랜드 | 31,810 |
15 | 프랑스 | 27,055 |
16 | 인도네시아 | 25,153 |
17 | 아르헨티나 | 23,089 |
18 | 싱가포르 | 21,203 |
19 | 태국 | 20,353 |
20위. 키르기즈공화국 ..... 20,229명
21위. 멕시코 ..... 13,158명
22위. 말레이시아 ..... 13,152명
23위. 스웨덴 ..... 12,986명
24위. 우크라이나 ..... 12,765명
25위. 인도 ..... 11,360명
26위. 네덜란드 ..... 9,398명
27위. 아랍에미리트 ..... 9,227명
28위. 덴마크 ..... 8,844명
29위. 캄보디아 ..... 7,800명
30위. 노르웨이 ...... 6,670명
B. 일본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
23년 기준 일본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으로 귀화자 포함 총 인구는 802,118명입니다.
지역별 대사관과 총영사관으로 구분한 재일동포 인구수 귀화자 390,218명(48.65%), 도쿄 126,414명, 오사카 120,629명, 고베 42,546명
나고야 36,630명, 요코하마 33,183명, 후쿠오카 20,650, 히로시마 13,396명, 센다이 7,580명, 니가타 6,782명, 삿포로 4,090명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337,766명, 일반체류자 61,720명, 유학생 12,414명, 시민권자(외국 국적자) 390,218명
C. 중국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
23년 기준 중국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으로 총 인구는 2,109,727명입니다.
지역별 대사관과 총영사관으로 구분한 재중동포 인구수 선양 1,429,418명(67.75%), 북경 204,717명, 칭다오 186,817명, 상하이 103,688명
다렌 72,000명, 광저우 69,996명, 홍콩 16,604명, 청두 11,961명, 우한 9,360명, 시안 5,166명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9,602명, 일반체류자 188,846명, 유학생 17,516명, 시민권자(외국 국적자) 1,893,763명
D. 남아시아 재외동포 현황
23년 기준 남아시아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으로 총 인구는 520,490명입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 178,112명, 호주 159,771명, 필리핀 34,148명, 뉴질랜드 31,810명, 인도네시아 25,153명, 싱가포르 21,203명, 태국 20,353명
말레이시아 13,152명, 인도 11,360명, 캄보디아 7,800명, 네팔 599명, 대만 5,392명, 라오스 3,291명, 방글라데시 1,904명, 몽골 1,786명
미얀마 1,516명, 피지 1,120명, 파키스탄 879명, 동티모르 137명, 마셜제도 25명, 마이크로네시아 10명, 몰디브 43명, , 바누아투 70명, 부탄 6명
브루나이 156명, 솔로몬제도 69명, 스리랑카 387명, 아프가니스탄 6명, 통가 24명, 파푸아뉴기니 146명, 팔라우 36명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72,434명, 일반체류자 317,611명, 유학생 33,833명, 시민권자(외국 국적자) 96,612명
E. 북미 재외동포 현황
23년 기준 북미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으로 총 인구는 2,862,781명입니다.
미국 2,615,419명 중 대사관 157,778명, 로스앤젤레스 662,383명, 시카고 347,900명, 뉴욕 304,459명, 샌프란시스코 281,372명, 시애틀 184,445명
휴스톤 99,824명, 댈러스 86,825명, 호놀룰루 76,064명, 필라델피아 72,639명, 보스턴 60,964명, 하갓냐 7,070명, 앵커리지 6,987명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440,171명, 일반체류자 607,333명, 유학생 44,092명, 시민권자(외국 국적자) 1,523,823명
캐나다 247,362명 중 대사관 4,280명, 토론토 127,174명, 밴쿠버 100,708명, 몬트리올 15,200명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70,566명, 일반체류자 13,491명, 유학생 15,935명, 시민권자(외국 국적자) 147,370명
F. 중남미 재외동포 현황
23년 기준 중남미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으로 총 인구는 102,751명입니다.
브라질 47,544명, 아르헨티나 23,089명, 멕시코 13,158명, 과테말라 5,629명, 파라과이 4,348명, 칠레 2,345명, 페루 1,230명, 가이아나 4명
그레나다 73명, 니카라과 705명, 도미니카공화국 629명, 베네수엘라 145명, 벨리즈 19명, 볼리비아 498명
세인트루시아 4명, 세이트빈센트그레나딘 13명, 수리남 52명, 아이티 117명, 에콰도르 620묭, 엘살바도르 162명, 온두라스 285명
우루과이 155명, 자메이카 106명, 코스타리카 360명, 콜롬비아 857명, 쿠바 32명, 트리니다드토바고 36명, 파나마 536명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52,706명, 일반체류자 9,452명, 유학생 297명, 시민권자(외국 국적자) 40,296명
G. 유럽 재외동포 현황
23년 기준 유럽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으로 총 인구는 654,249명입니다.
러시아 124,811명 (대사관 49,174명, 블라디보스톡 48,603명, 유즈노사할린스크 16,127명, 이르쿠츠크 6,509명, 상트페테르부르크 4,398명)
독일 49,683명 (대사관 9,236명, 프랑크푸르트 22,940명, 본 12,297명, 함부르크 5,210명)
우즈베키스탄 174,490명, 카자흐스탄 121,130명, 영국 39,097명, 프랑스 27,055명, 키르기즈공화국 20,229명, 스웨덴 12,986명, 우크라이나 12,765명
네덜란드 9,398명, 덴마크 8,844명, 노르웨이 6,670명, 헝가리 6,352명, 벨기에 5,221명, 스위스 4,109명, 스페인 4,774명, 이탈리아 4,499명, 폴란드 4,386명, 체코 2,824명
오스트리아 2,681명, 튀르키예 2,697명, 슬로바키아 1,481명, 아일랜드 1,176명, 룩셈부르크 846명, 핀란드 935명, 타지키스탄 778명
투르크메니스탄 687명, 아르메니아 418명, 그리스 301명, , 루마니아 309명, 벨라루스 454명, 포르투갈 314명
리투아니아 76명, 리히텐슈타인 3명, 모나코 6명, 몬테네그로 3명, 몰도바 81명, 몰타 133명,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11명,
북마케도니아 13명, 불가리아 224명, 사이프러스 52명, 산마리노 1명, 세르비아 145명, 슬로베니아 47명, , 아이슬란드 23명, 아제르바이잔 162명
안도라 5명, 알바니아 140명, 에스토니아 281명, 조지아 229명, 코스보 25명, 크로아티아 142명, 라트비아 47명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37,488명, 일반체류자 69,905명, 유학생 25,667명, 시민권자(외국 국적자) 521,189명
H. 아프리카 재외동포 현황
23년 기준 아프리카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으로 총 인구는 10,455명입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4,369명, 가나, 445명, 가봉 67명, 감비아 57명, 기니 46명, 기니비사우 8명, 나미비아 21명, 나이지리아 405명, 남수단 14명
니제르 29명, 라이베리아 45명, 레소토 8명, 르완다 206명, 마다가스카르 152명, 말라위 173명, 말리 23명, 모리셔스 44명
모잠비크 194명, 베냉 29명, 보츠오나 88명, 부룬디 25명, 부르키나파소 39명, 세네갈 302명, 세이셸공화국 3명
수단 27명, 시에라리온 44명, 앙골라 62명, 에스와티니 89명, 에티오피아 288명, 우간다 664명, 잠비아 173명, 적도기니 59명, 중앙아프리카 5명
지부티 7명, 짐바브웨 89명, 차드 23명, 카메룬 99명, 카보베르데 7명, 케냐 1,068명, 코모로 5명, 코트디부라르 171명, 콩고공화국 2명, 콩고민주공화국 113명, 탄자니아 605명, 토고 63명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2,158명, 일반체류자 7,484명, 유학생 664명, 시민권자(외국 국적자) 149명
I. 중동 재외동포 현황
23년 기준 중동 지역별 재외동포 현황으로 총 인구는 18,939명입니다.
레바논 214명, 리비아 24명, 모로코 362명, 모리타니아 71명, 바레인 234명, 사우디아라비아 2,098명, 아랍에미리트 9,227명, 알제리 403명
예멘 2명, 오만 242명, 요르단 345명, 이라크 934명, 이란 167명, 이스라엘 572명, 이집트 1,005명, 카타르 2,325명, 쿠웨이트 532명, 튀니지 182명
거주 자격별로는 영주권자 120명, 일반체류자 18,000명, 유학생 698명, 시민권자(외국 국적자) 121명
이상은 재외동포 국가별 순위와 현황 모음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