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주식인 게시물 표시

증권사 매매 수수료 비교 순위와 증권거래세

이미지
주식 매매에 들어가는 비용 모음으로 7개 증권사 수수료 순위 비교와 증권거래세, 실제 주식 매매에 따른 비용 비교와 증권사별 실제 수수료 비교 정보입니다. 증권사 매매 수수료 비교 순위와 증권거래세 글의 순서 A. 증권거래세 (24년 개정 기준) B. 증권사 수수료 순위 비교 국내 주식 매매 비용과 증권사 수수료 순위 주식을 살 때는 주식 거래 수수료를 내고, 팔 때는 수수료 + 증권거래세(세금)도 냅니다.  예를 들어 10,000원에 100주를 사서 15,000원에 100주를 팔았을 때 비용은 100주 살 때 10,000원 x 100주 +수수료 10,000 x 100 x 0.015%  =1,000,000 + 150 = 1,000,150원 100주 팔 때 10,000원 x 100주 - 수수료 10,000 x 100 x (0.015% + 0.18%)  =1,000,000 - 1,950 = 998,050원 부담하는 비용 증권사 매매 수수료 1,000,000원에 150원, 사고팔 때 냄 증권거래세(세금)는 1,000,000원에 1,800원, 팔 때만 냄 A. 증권거래세 (24년 개정 기준) 증권거래세는 1979년에 신설된 국가 세금으로 매매가 확정되면 증권사에서 자동으로 세금을 제외하고 입금합니다. 최초에는 0.2%였으며, 21년에 0.23%, 23년 0.2%, 24년 0.18%, 25년 0.15%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증권거래세 24년 개정 코스피 = 0.03%+농특세 0.15 = 0.18% 코스닥 = 0.18%  코넥스 = 0.10% K-OTC = 0.18% B. 증권사 수수료 순위 비교 증권사 수수료는 개인에 따라 가입 시기의 이벤트에 따라 조...

공모주 수익률, 상장일 종가 기준 3년 통계

이미지
많은 사람들이 투자하는 공모주의 3년 수익률 통계입니다. 상장일 종가와 공모가 수익률로 지난 3년간 344개 공모주의 상장일 시가와 종가, 종가 기준 등락률(수익률)과 수익률 단계별 비율, 평균 기대 수익률 통계 정보입니다. 공모주 수익률, 상장일 종가 기준 3년 통계 지난 3년간 공모주 상장일 안전 수익률 지난 3년간 총 344개 공모주 통계 정보로 상장일 종가 기준 수익률 정보입니다. 300 수익률 5개 회사로 현대힘스, 우진엔텍, DS단석, LS머트리얼즈, 케이엔에스 200~300% 수익률 6개 회사로 노브랜드, 교보14호스펙, 필에너지, 엔젤로보틱스, 그린리소스, 시큐센 (200% 이상 수익률 11개사 0.3%) 150~200% 수익률 25개 회사 (150% 이상 수익률 36개사 10.4%) 100~150% 수익률 21개 회사 (100% 이상 수익률 57개사 16.6%) 80~100% 수익률 15개 회사 (80% 이상 수익률 72개사 20.9%) 60~80% 수익률 19개 회사 (60% 이상 수익률 91개사 26.5%) 40~60% 수익률 28개 회사 (40% 이상 수익률 119개사 34.6%) 20~40% 수익률 37개 회사 (20% 이상 수익률 156개사 45.3%) 0~20% 수익률 119개 회사 (플러스 수익률 275개사 79.94%) 상장일 종가 플러스 수익률 공모주는 275개사로 약 80%, 마이너스 수익률 공모주 69개사 (20.06%) -10~0% 수익률 39개 회사 -20~-10% 수익률 17개 회사 -30~-20% 수익률 8개 회사 -40~-30% 수익률 5개 회사, 더블유씨피 (-30.5%), 라피인 (-31.9%), 위니아에이드 (-32.1%), 지니너스 (-33%), 파로스아이바이오 (-37.6%) 지난 3년간 공모주 상장일 종가 수익률 평균을 ...

비트코인 수익률과 주식 수익률 비교

이미지
놀라운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연도별 비트코인 수익률과 주식 수익률 비교정보입니다. 연도별 비트코인 가격과 수익률, 2013년에서 2023년까지 10년간 비트코인 수익률과 S&P500 수익률, 금 수익률, 고수익 회사 채권 수익률, 채권 수익률, 필수 소비재 수익률 비교정보입니다. 비트코인 수익률과 주식 수익률 비교 연도별 비트코인 수익률 모음 2009년 비트코인 발행 사토시 나카토모 개발자에 의해 1월 3일 발행 시작 2010년 거래시작 2월 세계 최초 마운트 곡스(MT GOX) 거래소에서 거래시작, 2010년 5월 플로리다주에서 1만 비트코인으로 피자 2판 거래가 유명함 2011년 상승률 1,624% ↑ 시작 0.29달러 ↔ 최대 32달러 ↔ 5달러로 마감 2012년 상승률 160% ↑ 코인 채굴이 어려지는 반감기를 거치며 채굴량이 감소해 코인 가치 증가 5달러 ↔ 최대 16달러 ↔ 13달러로 마감 2013년 상승률 5,516% ↑ 시작 13달러 ↔ 최대 1,163달러 ↔ 732달러로 마감 2014년 상승률 -58% ↓ 시작 732달러 ↔ 최대 995달러 ↔ 321달러로 마감 2015년 상승률 37% ↑ 시작 321달러 ↔ 최대 500달러 ↔ 430달러로 마감 2016년 상승률 119% ↑ 시작 430달러 ↔ 최대 981달러 ↔ 966달러로 마감 (한국 시장에서 주목받기 시작) 2017년 상승률 1,300% ↑ 시작 966달러 ↔ 최대 19,892달러 ↔ 13,863달러로 마감 2018년 상승률 -73% ↓ 시작 13,863달러 ↔ 최대 17,178달러 ↔ 3,692달러로 마감 (2018년 1월 규제 발표) 2019년  상승률 92% ↑ 시작 3,692달러 ↔ 최대 13,880달러 ↔ 7,168달러로 마감 2020년 상승률 302% ↑ 시작 7,168달러 ↔ 최대 29,300달러 ↔ 28,993달러로 마감 2021년 상승률 58% ↑ 시작 28,...

미국 배당킹 주식 순위 51주 모음

이미지
미국 50년 이상 배당금을 늘려온 배당킹 주식의 배당률 순위 51주 모음입니다. 배당 성향의 주식 분류 설명, 배당 관련 주식 전문 용어 설명, 50년 이상 배당을 늘려온 미국 배당킹 황제주식 51종목과 배당 관련 지표 비교 정보입니다.    미국 배당킹 주식 순위 51주 모음 미국 배당주(배당킹) 주식 순위와 지표 설명 모음 가. 배당 성향 주식 분류 설명 1. 성장 배당주 배당 비중은 작지만 높은 성장률을 보여주는 주식 2. 가치 배당주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는데 높은 배당 수익률이 있는 주식 3. 주기적 배당주 경제 주기에 따라 수익과 배당금 지급이 변동되는 주식 4. 배당 챔피언 25년 연속 배당금을 늘려온 기업의 주식 5. 귀족 배당주 25년 이상 매년 배당금을 늘려온 S&P500 기업의 주식 6. 배당킹 (황제) 배당주 50년 이상 매년 배당금을 늘려온 기업의 주식 나. 배당주 관련 중요한 지표 설명 YIELD FWD DIV - 연간 순 배당률 - 해당 가장 최근의 배당금을 빈도를 곱하고 종가로 나눈 비율로 이 주식의 지난 1년 배당 수익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CONSEC INCREASES - 연속 증가 - 해당 기업이 배당금을 연속적으로 늘린 연수입니다. CONSEC INCREASES 10은 지난 10년 동안 매년 배당금을 늘렸다는 의미입니다. 단, 미래 배당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 1 YR DIV CAGR - 최근 1년간 배당금 증가률 - 작년보다 이번에 얼마나 배당이 증가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기업의 최근 배당금 성장 추이를 알 수 있습니다. ⓒ 5 YR DIV CAGR - 최근 5년간 배당금 증가률 ⓓ EPS G EPS FY1 - 주당 순이익 - 최근 1년간의 주당 순이익 성장률로 순이익이 얼마나 성장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 P/E FY1 - 1년간 주가수익비율 - 현재 주가가 주당 순이익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며 다른 기업과 비교해서 주가가 비싼지를 판단합니다. 낮으면 저평가되어 있고 높으...

대기업 순이익 순위 TOP 100

이미지
대기업 순이익 기준 순위 100위 정보입니다. 22년 결산 기준 100대 대기업 자산 총액, 매출액, 순이익과 17년 순이익 비교 정보입니다. 취업과 주식투자를 위한 대기업 17년 22년 순위 비교. 대기업 순이익 순위 TOP 100 대기업 순위 변화 TOP 100 (22~17년 비교) 취업과 주식 투자를 위한 정보로 대기업 22년 12월 결산 기준 순이익 순위입니다. 자산 총액과 22년 매출액, 22년 순이익과 17년 순이익 상위 30개사 비교 정보입니다. 1. 삼성전자 자산 총계 260조 837억, 22년 매출액 211조 8,674억 순이익 22년 25조 4,187억/17년 28조 8,008억 (1위 =) 2. HMM 자산 총계 25조 6,842억 9, 22년 매출액 18조 4,298억 순이익 22년 10조 478억/17년 4조 924억 (3위 ▲) 3. 현대차 자산 총계 83조 4,123억, 22년 매출액 65조 3,083억 순이익 22년 3조 7,019억/17년 2조 5,513억 (5위 ▲) 4. LG화학 자산 총계 32조 8,728억, 22년 매출액 23조 4,036억 순이익 22년 3조 69억/17년 1조 6,052억 (10위 ▲) 5. SK하이닉스 자산총계 91조 8,002억, 22년 매출액 37조 8786억 순이익 22년 2조 7,904억/17년 10조 1,107억 (2위 ▼) 6. 기업은행 자산 총계 397조 8,979억, 22년 매출액 11조 4,557억 순이익 22년 2조 4,547억/17년 1조 3,140억 (15위 ▲) 7. S-Oil 자산 총계 19조 5,733억, 22년 매출액 42조 170억 순이익 22년 2조 1,036억/17년 1조 2,491억 (17위 ▲) 8. 기아 자산 총계 46조 7,154억, 22년 매출액 46조 4,097억 순이익 22년 1조 9535억/17년 1조 427억 (19위 ▲) 9. 대한항공 자산 총계 28조 657억, 22년 매출액 13조 4,127억 순이익 22...

미국 배당 인기 ETF 수익률 비교 추천

지난 1년간 수익률 1위 삼성 Kodex 미국 배당 프리미엄 액티브 ETF와 인기(총액 ) 1위 SOL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 수익률 비교 정보입니다. 배당 ETF 배당 수익과 기간 수익률 정보와 ETF 구성 종목과 평가금액, 비중 비교 정보입니다.   미국 배당 인기 ETF 수익률 비교 추천 수익률 1위 삼성 Kodex 배당 ETF와 인기(총액 ) 1위 신한 SOL 배당 ETF 비교정보입니다. 비교항목 삼성 Kod 신한 SOL 총액(인기) 383억 4,166억 상장일 22년 9월 22년 11월 운용사 삼성자산 신한자산 비용(수수료) 연 0.19% 연 0.01% 배당 수익률 6.12% 3.48% 1년 수익률 18.02% 10.36% 인기는 신한 ETF가 배당이 금액이 더 큰 것으로 보아 인기가 있으며 수수료가 낮은 장점이 있고 종목이 10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익률은 삼성 ETF가 배당금도 높고 수익률도 좋으며 3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간 수수료(비용)가 더 높지만 배당 수익률도 더 좋고 1년간 기간 수익률도 더 좋은 삼성 Kodex 미국 배당 프리미엄 액티브 ETF를 적금이나 예금대신 활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A. Kodex 미국 배당 프리미엄 액티브 수익률 삼성자산운용의 미국 우량 배당 성장주 투자와 콜옵션 매도(커버드콜) 전략으로 배당은 물론 자산의 성장까지 추구하는 ETF 입니다.  순자산 총액은 383억원, 상장일 22년 9월 27일 비용은 연간 총 보수 0.19%, 매매차익과 분배금에는 15.4% 과세...

ETF 인기 1위 KODEX 200 수익률과 종목 비율

이미지
국내 주식형 시가총액 1위로 가장 인기 있는 ETF KODEX 200 수익률과 종목 비율 정보입니다. KODEX 200 비용 비교와 세금 정보, 지난 수익률, 3년간 배당금 지급 현황, 종목 비율 순위와 수량, 구성 비율, 평가금액, 주가 정보입니다. ETF 인기 1위 KODEX 200 수익률과 종목 비율 KODEX 200 수익률 & 종목 비율 국내 주식형 시가총액 기준 1위의 인기 ETF인 KODEX 200 ETF 정보입니다. 시가 총액은 오늘 기준 6조 1,695억원이며, 2위는 KODEX 레버리지로 2조 4,514억원, 3위는 TIGER 200으로 2조 1,489억원, 4위 KODEX 200TR 1조 9,369억원, 5위 KBSTAR 200 1조 3,095억입니다. 가. KODEX 200 비용과 수익률 KODEX 200 ETF 주당 현재가격 34,150원이며 23년 기준 ⓐ 배당금 수익률 3% + 1년 수익률 4.32%를 합치면 7.32%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23.58%, 20일 평균 거래량은 7,394,040주에 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정재욱, 설정일은 2002년 10월 14일입니다. 분야별 구성 비율은 에너지 분야 2.46%, 소재 분야 8.79%, 산업재 9.10, 경기 소비재 10.42%, 필수 소비재 2.61%, 의료 4.12%, 금융 10.15, IT 50.13%, 통신 버시브 1.54%, 유틸리티 0.69%입니다. 비용(수수료)과 세금 연간 총 보수 비용이 0.15%입니다. 1,000만원 투자하면 일년에 15,000원이 비용(수수료)으로 지불됩니다. 비슷한 ETF 수수료를 비교하면 TIGER 200은 0.05%, KBSTAR 200은 0.02%, ARIRANG 200은 0.04%로 조금 높습니다. 세금정보는 ETF를 사고 팔았을 때 매매차익은 비과세로 이익이 발생해도 소득세가 없으며, 분배금(배당)은 현금기준 15.4% 소득세가 붙습니다. 수익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