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정태세문단세 조선왕조계보 왕 순서와 주요 업적

조선의 1대 왕 태조 이성계부터 27대 왕 순종 이척까지 태정태세문단세 왕의 계보 순서와 즉위 기간 왕의 이름, 왕의 수명과 사망 원인, 왕의 주요 업적을 정리한 글입니다.


태정태세문단세 조선왕조계보 왕 순서와 주요 업적


조선왕 계보로 27대 왕 순서와 기간, 수명과 주요 업적

조선 왕조는 1392년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고 건국하여 27대 순종이 일제에 국권을 빼앗긴 1910년까지 519년간 총 27명의 왕이 즉위하였습니다.


조선왕 계보 순서는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

"태정태세~"는 왕의 묘호의 첫 글자로 '묘(廟)'는 사당을, '호(號)'는 부름을 의미하며 돌아가시고 나서 붙여지는 이름입니다.


1대. 태조(太祖) 이성계 

즉위 기간 1392년 ~ 1398년, 1335년 태어나~1408년 74세에 병(중풍)으로 사망,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사후 '태조'라는 묘호를 받았습니다.

주요 업적 조선 왕조를 창건하고, 고려를 멸망시킴. 한양(현재 서울)을 수도로 정함


2대. 정종(定宗) 이방과 

즉위 기간 1398년 ~ 1400년, 1357년에 태어나 1419년 63세로 자연사, 태조의 둘째 아들이며, 스스로 왕위를 세종에게 물려주었습니다.

주요 업적 조선 제2대 왕으로서 안정된 정권을 유지하고, 유교적 통치 이념을 확립함.


광해-왕이-된-남자


3대. 태종(太宗) 이방원 

즉위 기간 1400년 ~ 1418년, 1367년에 태어나 1422년 56세에 병(폐렴)으로 사망,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고, 조선을 통치한 태종은 왕권 강화에 힘썼습니다.

주요 업적 왕권 강화를 위한 정치 개혁, 사병을 없애고 중앙 집권체제를 확립함. 법전 정비 및 농업 진흥 정책 실시.


4대 세종(世宗) 이도 

즉위 기간 1418년 ~ 1450년, 1397년에 태어나 1450년 54세에 당뇨병과 여러 질병으로 사망, 한글 창제를 포함해 다양한 개혁을 이룬 왕으로, 후세에 가장 존경받는 조선의 왕 중 한 명입니다.

주요 업적 한글 창제, 과학 기술 발달(측우기, 자격루), 문서 개혁 및 농업 발전에 기여.


5대. 문종(文宗) 이향 

즉위 기간 1450년 ~ 1452년, 1414년에 태어나 1452년 39세에 등창으로 사망, 세종의 장남으로, 즉위 후 병약하여 짧은 기간 동안 왕으로 있었습니다.

주요 업적 세종의 유지를 이어받아 안정된 통치, 경국대전의 기초 작업 시작.


6대. 단종(端宗) 이홍위 

즉위 기간 1452년 ~ 1455년, 1441년에 태어나 1457년 17세에 질식사로 죽음, 세조에 의해 폐위되고, 사사된 후 후대에 복권되었습니다.

주요 업적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으며, 단기간 통치로 특별한 업적은 없으나, 그의 폐위와 관련된 사건은 조선의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침.


7대. 세조(世祖) 이유 

즉위 기간 1455년 ~ 1468년, 1417년에 태어나 1468년 52세에 한파로 인한 병세 악화 문둥병으로 죽, 조카 단종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으며, 강력한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주요 업적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 확립, 세종의 업적을 계승하고 재정 및 군사 제도를 정비함.




8대. 예종(睿宗) 이황 

즉위 기간 1468년 ~ 1469년, 1450년에 태어나 1469년에 20세에 급, 즉위 후 곧바로 병으로 사망한 비운의 왕입니다.

주요 업적 짧은 재위로 특별한 업적은 없으나, 세조의 유지를 이어받음.


9대. 성종(成宗) 이혈 

즉위 기간 1469년 ~ 1494년, 1457년에 태어나 1494년 38세에 병사(등창 합병증), 조선 중기의 번영을 이끈 왕으로, 경국대전을 완성한 업적이 있습니다.

주요 업적 성리학의 확산, 경국대전 완성, 문화 발전 및 사회 안정에 기여.


10대. 연산군(燕山君) 이융 

즉위 기간 1494년 ~ 1506년, 1476년에 태어나 1506년 31세 폐위 후 유배 중 병사(괴질), 폭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종반정으로 폐위되었습니다.

주요 업적 폭정과 무자비한 통치로 악명 높음, 정치적 반란과 갈등 발생.


이상은 조선 전기

조선왕-계보

중종부터는 조선 중기


11대. 중종(中宗) 이역 

즉위 기간 1506년 ~ 1544년, 1488년에 태어나 1544년 57세에 병사(울화병과 노환), 중종반정을 통해 즉위하였으며, 성리학적 질서를 회복했습니다.

주요 업적 중종반정을 통해 즉위, 성리학적 질서 회복 및 정치적 안정 이룸.


12대. 인종(仁宗) 이호 

즉위 기간 1544년 ~ 1545년, 1515년 태어나 1545년 31세에 병사 (이질합병증), 중종의 장남으로, 1년 남짓 짧은 기간 동안 왕으로 있었습니다.

주요 업적 짧은 재위로 특별한 업적은 없으며, 외척의 정치적 간섭을 받음.


13대. 명종(明宗) 이환 

즉위 기간 1545년 ~ 1567년, 1534년에 태어나 1567년 34세에 병사(심열), 외척 간의 권력 다툼 속에서 왕위에 있었던 인물로, 병약하였습니다.

주요 업적 약한 왕권과 외척 간의 갈등 속에서 재위함.


14대. 선조(宣祖) 이연 

즉위 기간 1567년 ~ 1608년, 1552년에 태어나 1608년 57세 병사,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지켰던 왕으로, 전란의 혼란 속에서 통치했습니다.

주요 업적 임진왜란을 겪으며 전쟁 중 민생 안정을 위해 노력, 군사적 방어를 강화함.


15대. 광해군(光海君) 이혼 

즉위 기간 1608년 ~ 1623년, 1575년에 태어나 1641년 66세에 폐위 후 유배 중 병사, 폐위된 왕으로, 북인 세력의 지지를 받았으나 인조반정으로 유배되었습니다.

주요 업적 북인 세력과 동인 세력 간의 권력 다툼 속에서 통치, 외교와 경제의 발전에 기여했으나 폭군으로 낙인찍힘.


16대. 인조(仁祖) 이종 

즉위 기간 1623년 ~ 1649년, 1595년에 태어나 1649년 54세에 병사(울화병), 인조반정을 통해 즉위하였으며, 병자호란을 겪은 왕입니다.

주요 업적 인조반정을 통해 즉위, 병자호란 시기의 조정과 외교 정책을 시행.


17대. 효종(孝宗) 이호 

즉위 기간 1649년 ~ 1659년, 1619년에 태어나 1659년 40세에 병사, 병자호란 이후 북벌 계획을 세운 왕으로, 군사적 준비를 강조했습니다.

주요 업적 병자호란 이후 북벌 정책을 추진, 외교와 군사에 집중하여 국력을 강화함.


18대. 현종(顯宗) 이연 

즉위 기간 1659년 ~ 1674년, 1641년에 태어나 1674년 33세에 병사(종기), 효종의 아들로, 서인과 남인 간의 당쟁이 격화된 시기였습니다.

주요 업적 내정과 외정의 안정을 도모, 당파 싸움 속에서 조정의 혼란을 극복하려 노력.


이상은 조선 중기 (중종~현종), 이후는 조선 후기에 속합니다.


19대. 숙종(肅宗) 이순 

즉위 기간 1674년 ~ 1720년, 1661년에 태어나 1720년 59세에 병사, 당쟁을 조율하며 정치적 균형을 유지했던 왕으로, 강력한 왕권을 유지했습니다.

주요 업적 탕평책으로 당파 간의 갈등을 조정, 경제적 안정과 문화 발전을 이룩함.


조선왕-계보-1-27개왕


20대. 경종(景宗) 이윤 

즉위 기간 1720년 ~ 1724년, 1688년에 태어나 1724년 36세에 병사 (중독설도 있음), 숙종의 아들로, 병약하여 짧은 기간 왕위에 있었습니다.

주요 업적 약한 왕권으로 인해 정국이 혼란스러웠으며, 세도 정치의 시작이 되었음.


21대. 영조(英祖) 이금 

즉위 기간 1724년 ~ 1776년, 1694년에 태어나 1776년 82세에 병사, 조선 중기의 안정과 번영을 이끌었으며, 탕평책으로 당파 싸움을 조정했습니다.

주요 업적 탕평책을 통해 당쟁의 혼란을 줄이고, 규장각을 설립하여 학문과 문화를 발전시킴.


22대. 정조(正祖) 이산 

즉위 기간 1776년 ~ 1800년, 1752년에 태어나 1800년 48세에 병사 (독살설도 있음), 개혁 군주로, 규장각 설치 등 학문과 정치에서 많은 개혁을 단행했습니다.

주요 업적 규장각 설치, 개혁과 발전을 이끌며 군주로서의 역할을 다함.


23대. 순조(純祖) 이공 

즉위 기간 1800년 ~ 1834년, 1790년에 태어나 1834년 44세에 병사, 세도 정치의 시작으로, 왕권이 약해졌던 시기입니다.

주요 업적 세도 정치의 시기로, 왕권이 약해져 정국의 혼란이 심해짐.


24대. 헌종(憲宗) 이환 

즉위 기간 1834년 ~ 1849년, 1827년에 태어나 1849년 22세에 병사, 세도 정치 시기의 왕으로, 정치적 권한이 미약했습니다.

주요 업적 왕권이 약화된 상황 속에서 정국의 안정을 추구했으나, 세도 정치로 인해 힘든 통치.


25대. 철종(哲宗) 이변 

즉위 기간 1849년 ~ 1863년, 1831년에 태어나 1863년 32세에 병사, 서민 출신으로 왕위에 올랐으며, 세도 정치로 인해 왕권이 약했던 왕입니다.

주요 업적 정치적 혼란 속에서 왕위를 계승, 세도 정치와 대립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냄.


26대. 고종(高宗) 이형 

즉위 기간 1863년 ~ 1907년, 1852년에 태어나 1919년 67세에 병사 (독살설도 있음), 고종은 조선의 마지막 군주로, 대한제국을 선포하여 황제로 즉위했습니다. 1907년 일본의 강압으로 퇴위하고, 1919년에 사망했습니다. 독살설이 있었지만, 병사로 공식 기록되었습니다.

주요 업적 대한제국을 선포하여 황제로 즉위, 외세의 압박 속에서도 국권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임.


27. 순종(純宗) 이척 

즉위 기간 1907년 ~ 1910년, 1874년에 태어나 1926년 52세에 병사(심장병), 조선의 마지막 왕이자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입니다. 한일합병 조약으로 인해 1910년에 왕위에서 물러나고, 1926년에 사망했습니다.

주요 업적 한일합병으로 인해 왕위에서 물러나고 유배된 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로서의 삶을 마감함.


이상은 태정태세문단세 조선왕조 계보와 왕 순서, 왕의 주요 업적에 관해 정리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