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소서 취미·특기 리스트 70 작성 잘쓴 예시 모음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자소서와 면접에서 질문하는 취미와 특기의 다른 점과 활용하는 방법으로 평범한 취미, 특기를 직무와 연결해서 작성하는 방법 예시와 참고하면 좋은 직무별 어울리는 취미 특기 70가지 예시를 모았습니다.
자소서 취미·특기 리스트 70 작성 예시 모음
취업 준비의 높은 허들, 자기소개서! 수많은 항목 중에서도 '취미'와 '특기'를 채울 때면 유독 막막함을 느끼는 취준생 여러분이 많습니다. "이걸 왜 쓰라는 거지?", "솔직히 게임 말고는 딱히 없는데...", "잘못 쓰면 마이너스 아닐까?" 하는 걱정들 말이죠.
어떻게 작성해야 인사담당자의 눈길을 사로잡고 합격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취미와 특기의 차이점부터 직무별 찰떡 예시까지, 모든 것을 파헤쳐 드립니다!
취미 vs 특기, 뭐가 다르고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가장 기본적인 질문부터 해결해 봅시다. 취미와 특기는 비슷해 보이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취미(Hobby)는 내가 '즐거움'을 얻는 활동으로 평상시에 꾸준히 즐기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삶에 활력을 불어넣는 활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독서, 음악 감상, 운동(헬스, 요가, 축구 등), 영화 감상, 맛집 탐방, 여행, 악기 연주, 그림 그리기 등이 있죠.
취미는 지원자가 어떤 활동에서 즐거움을 느끼는지, 외적 동기부여 없이 계속 지속할 수 있는 개인적인 관심사를 보여줍니다.
특기 (Specialty/Skill)는 내가 '남다른 능력'을 발휘하는 분야로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나거나 특별한 재능, 기술을 가진 분야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외국어 회화 (OPIc AL, 토익스피킹 Lv.8 등), 프로그래밍 (Python, Java 등), 영상 편집 (Premiere Pro, Final Cut Pro 활용), 데이터 분석 (SQL, R 활용), 글쓰기 (블로그 운영 경험), PPT 디자인, 특정 분야 자격증 등
취미는 증명할 필요가 없지만 특기는 전문성과 숙련도, 구체적인 성과나 경험 등을 예시하여 증명할 수 있습니다.
※ 여기서 잠깐! 취미가 발전하여 특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꾸준히 즐기던 '사진 촬영'(취미)이 전문가 수준의 '사진 편집 및 보정 기술'(특기)로 이어질 수 있는 것처럼요!
1. 왜 취미와 특기를 중요하게 볼까? 잘 쓴 예시
취미와 특기를 보면 지원자의 평소 모습이나 가치관, 성향을 엿볼 수 있습니다. 특기를 통해 직무 관련 역량을 간접적으로 보여줄 기회가 되고, 흥미로운 취미, 특기는 면접에서 자연스러운 질문을 유도하고 긍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어요.
1.1 콘텐츠 마케팅 직무를 지원하는 미애양의 취미 특기
다양한 주제로 블로그 글을 작성하는 것이 취미예요. 특히 리뷰나 에세이 글을 자주 쓰며, 요즘에는 뉴스레터도 구독해서 문장 구조나 표현법을 참고하고 있어요. 넷플릭스, 유튜브를 볼 때도 단순 시청이 아니라 "이 제목은 왜 클릭을 유도할까?", "썸네일 디자인의 공통점은 뭘까?"처럼 콘텐츠 요소 분석을 습관처럼 합니다.
SNS 콘텐츠 기획과 에디팅 능력이 특기예요. 교내 홍보대사 활동을 하며 인스타그램 콘텐츠 기획 및 글 작성, 피드백 관리까지 직접 해봤어요. 카피라이팅 감각이 있어서, 실제 체험단 블로그에서 ‘클릭 유도형 제목’과 ‘검색 키워드 최적화’로 상위 노출 경험도 있습니다. 디자인 툴 활용 능력도 있습니다. Canva와 포토샵으로 SNS 썸네일, 카드뉴스까지 제작 가능합니다.
콘텐츠 마케팅 직무는 단순히 글을 잘 쓰는 것이 아니라, 검색 유입, 조회수, 클릭률 등을 고려한 기획 능력이 중요합니다. 미애양은 단순히 ‘블로그 한다’고 그치지 않고, 트렌드 분석 + 실제 성과 도출 경험(상위노출)까지 갖췄기 때문에 경쟁력이 있습니다.
1.2 고객 서비스(CS)/서비스 기획 직무에 어울리는 취미 특기
배달앱, 중고거래앱, 은행 앱 등 자주 쓰는 앱을 일부러 계속 바꿔가며 써봐요. 각각의 UX(사용자 흐름), 불편한 점, 좋았던 요소를 메모장에 정리하는 게 습관이 되었어요. ‘요즘 왜 이런 기능이 생겼지?’ 궁금하면 검색해서 트렌드 기사를 찾아보고, 관련 피드백을 모아보기도 합니다. 친구들과 소모임 앱이나 스터디용 툴을 공유하고, 어떤 점이 편리했는지 리뷰를 남겨요.
고객 피드백 분석 경험이 있습니다. 아르바이트 때 고객 클레임과 VOC 정리해 보고서로 정리한 적 있어요. 서비스 기획안 작성 경험도 있습니다. 스타트업 인턴 때 간단한 신규 기능 제안을 했고, 실제 회의 자료로 반영되었습니다. UX 관점의 관찰력도 좋아서 앱 리뷰 수집 → 개선 제안 → 프로토타입 구상까지 개인 프로젝트로 진행 중입니다.
고객 서비스 및 서비스 기획 직무는 ‘말 잘하는 사람’보다 이용자의 불편을 먼저 발견하고, 개선 제안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유리합니다. 단순히 앱을 쓰는 수준을 넘어, 고객 시선으로 관찰 + 개선 아이디어 도출 경험이 있는 지원자 실무에 바로 연결될 수 있는 강점이 있어요.
1.3 취미와 특기를 직무에 연결하는 방법
취미로 단순히 무엇을 하고 좋아한다는 말 보다는 어떤 생각과 목적을 가지고 취미를 즐겼는지가 중요하죠. “SNS를 좋아해요” 보다는 “블로그와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면서 카피 문구와 썸네일을 바꿔가며 클릭률을 높이는 실험을 해봤어요”라고 쓰면 조금 전문가 같은 느낌이 들죠.
“앱을 자주 써요”라고 보다는 “여러 앱을 사용하면서 불편한 UX를 기록하고, 개선 아이디어로 정리하고 있어요”가 더 프로라는 느낌이 들지 않나요? 단순한 취미와 특기라도 어떤 생각과 목적을 가지고 활용하려 한다는 목적의식을 넣어 주는 것이 좋아요.
2. 지원 직무에는 어떤 취미·특기가 어울릴까? (직무별 추천 예시)
자신의 취미와 특기를 어떤 직무 역량과 연결할 수 있을지 아래 참고용 예시가 도움이 될 거예요.
2.1 마케팅/홍보 관련 직무에 어울리는 취미와 특기
취미는 인스타그램, 유튜브 숏츠 트렌드 분석과 리그램/스크랩, SNS 계정 운영 (여행 계정, 맛집 계정, 브이로그 등), 블로그 포스팅 (네이버 블로그 체험단, 키워드 리뷰 등)
사진 촬영 (아이폰/미러리스 활용한 감성 사진 찍기), 전시회/브랜딩 행사 관람 후 SNS 리뷰 작성, 카피 문구 모으기, 인상 깊은 광고 캠페인 수집
뉴스레터 구독 (마켓컬리, 무신사 등 브랜드 마케팅 중심), 제페토, 틱톡 등 Z세대 플랫폼 실험, 요리와 푸드 스타일링, SNS 챌린지 참여
특기는 콘텐츠 기획 및 스토리보드 작성, GA(Google Analytics), Search Console, 네이버 애널리틱스 사용 경험, SNS 콘텐츠 제작
포토샵, 캔바, 프리미어 프로 등 편집 툴 활용 능력, SEO, SEM 키워드 분석 및 최적화 경험, 커뮤니티 관리
소셜 광고 집행 경험(Facebook Ads, 네이버 GFA 등), 설문조사 및 결과 기반 인사이트 도출 경험
관련 글
2.2 개발/IT 관련 직무에 어울리는 취미 특기
취미는 ChatGPT 등 AI 기술 실험해보기, 백준, 프로그래머스에서 코딩 테스트 풀기, ChatGPT, GitHub Copilot 활용해서 미니 프로젝트 진행
기술 블로그 운영(티스토리, 브런치, 벨로그 등), 유튜브로 개발 강의 시청 및 정리, 해커톤, 앱잼, 소학회에서 팀 프로젝트 참여
개발 유튜버 팔로우 구독 (코딩애플, 드림코딩 등), 스마트폰 앱 뜯어보기, 사용성 피드백 기록
특기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Python, Java, C++ 등) 숙련도,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 클라우드(AWS, Azure) 경험, 버전 관리 시스템(Git) 활용
프론트엔드(Vue, React), 백엔드(Node.js, Spring), GitHub 기반 협업 경험 (Fork, Pull Request 등), IT 자격증 취득
Firebase, AWS 활용한 간단한 웹앱 배포 경험, API 연동 경험 및 RESTful 설계 이해
컴퓨터공학 비전공자의 독학 포트폴리오 보유, SQL, MongoDB 등 데이터베이스 사용 경험
2.3 디자인/크리에이티브 직무에 어울리는 취미 특기
취미는 아이패드로 드로잉/프로크리에이트 일러스트, 감각적인 카페 인테리어 사진 촬영 후 SNS 공유, 국내 디자인 유튜버/인스타그램 팔로우 및 참고
디자인 서적, 잡지(매거진B, BOB) 수집 및 감상, 인테리어, 타이포그래피 이미지 수집 (Pinterest, Notion 정리), 넷플릭스 콘텐츠의 포스터/컬러 구성 연구
중고나라, 번개장터 앱 UI 분석 및 문제점 메모, 브랜드 로고 리디자인 실습 (연습용)
특기는 디자인 툴(Figma, Sketch, Adobe XD, Zeplin 등) 숙련도, UI/UX 디자인 경험, 프로토타이핑 능력, 포트폴리오 보유
개인 디자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 운영, 실제 앱/웹 UI 리디자인 프로젝트 경험, UX 리서치 기초 조사(인터뷰, 설문조사 등) 경험
애자일/디자인 스프린트 참여 경험, 크몽/탈잉에서 디자인 외주 수주 경험
2.4 영업/기획 직무에 어울리는 취미 특기
취미는 교내/교외 동아리 활동 및 회장단 경험, 토론 동아리 또는 독서 모임 리더 활동, 경제 유튜브 시청 후 요약 노트 작성
소모임 플랫폼(온오프믹스, 숨고 등) 통해 네트워킹, 온라인 커뮤니티(디시, 더쿠 등)에서 사용자 니즈 분석
유튜브 ‘기획 영상’ 시청 및 구조 분석, 중고거래 플랫폼 자주 사용하며 협상력 키우기
특기는 파워포인트, 구글 슬라이드 활용 능력, 논리적 기획서/제안서 작성 능력, CRM 툴(세일즈포스, 리멤버 등) 사용 경험
엑셀/구글시트로 데이터 정리 및 분석 가능, 페르소나 설정, 소비자 인사이트 도출 능력, 실습/인턴 중 매출 목표 대비 분석 및 보고 경험
2.5 인사/교육 직무에 어울리는 취미 특기
취미는 MBTI, 에니어그램 등 성격 유형 테스트 즐겨하기, 멘토링 프로그램 참여 (선배-후배 연결 활동)
커뮤니티 게시판 관리 및 운영(카카오 오픈채팅, 네이버 카페 등), 힐링, 성장 관련 책 읽고 서평 쓰기
명상 앱(마보, 코끼리 등) 사용 후기 공유, 유튜브 상담사 채널 구독 및 사례 분석, HR 뉴스레터 구독 (링커리어, 브런치 HR 콘텐츠 등)
특기는 교육 커리큘럼 설계 및 강의안 작성 경험, 실제 스터디 모임 운영 및 피드백 관리 경험, MBTI, DISC, 애니어그램 진단 툴 해석 가능
면접관 알바, 입시/취업 컨설팅 보조 경험, HRD, 조직문화 관련 논문/사례 요약 및 공유, 갈등 조정 및 구성원 인터뷰 진행 경험
각 활동은 자기소개서와 면접에서 직무 관심도와 관련 역량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연결고리가 됩니다. 직무 연관성과 본인의 경험이 맞아떨어진다면, 단순한 취미도 충분히 경쟁력 있는 특기로 바뀔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합격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