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잡러 프리랜서 고소득 플랫폼 9곳 특징과 수수료 비교

부업과 전업, 인플루언서, N잡러가 프리랜서로 고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국내 플랫폼 9곳의 특징과 장단점, 부담하는 수수료 등을 비교한 정보입니다.

N잡러 프리랜서 고소득 플랫폼 9곳 특징과 수수료 비교



N잡러 프리랜서 플랫폼 장단점과 수수료 비교


1. 크몽(Kmong) 특징과 수수료

크몽(Kmong)은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프리랜서 플랫폼입니다. 주로 디자인, IT 프로그래밍 개발, 번역, 마케팅, 컨설팅, 그림, 사진, 영상 제작, 전자책과 템플릿 등 정말 다양한 분야의 일거리와 전문가를 연결해 주는 플랫폼입니다. 

크몽 장점은 ⓐ 초보부터 전문가까지 다양하다는 점 ⓑ 프리랜서의 과거 작업 내용과 리뷰, 평점 시스템 ⓒ 의사 소통이 앱 내에서 가능 ⓓ 안전한 결제 시스템

크몽의-문제점과-수수료에-관한-블로그

참고 글 - N잡러 크몽의 문제점과 수수료 계산 방법 예시

크몽 단점은 ⓐ 프리랜서가 부담하는 수수료가 높음 (4.4~20%) ⓑ 진입장벽이 낮아서 경쟁이 치열함 ⓒ 서비스 등록하는 과정이 복잡함 ⓓ 플랫폼 정책 변화에 따라 수익 변화가 큼

크몽 수수료

수수료는 크게 서비스 이용료와 결제망 이용료, 부가세가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료는 4.4~16.4%, 결제망 이용료는 3.3%, 부가세는 위 금액의 10%입니다. 모든 수수료를 더했을 때 최대 20%가 조금 넘습니다.


2. 숨고(Soomgo) 특징과 수수료

숨고는 회원이 거주하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이사, 청소, 수리 등 실생활과 관련한 서비스가 대표적입니다.

참고 글 - 숨고(Soomgo) 수수료와 견적비 아끼는 6가지 꿀팁

장점으로 ⓐ 소비자가 서비스와 예산을 입력하면 적합한 전문가를 매칭 ⓑ 전등 갈기부터 법률 상담까지 폭넓은 카테고리를 지원 ⓒ 다수의 전문가에게 견적을 받아서 비교할 수 있음 ⓓ 안전 결제로 사기를 당하는 경우 예방

숨고 단점은 ⓐ 견적 요청하고 받기까지 다소 길어짐 ⓑ 경쟁이 치열하여 신규 전문가 진입이 쉽지 않음 ⓒ 수수료 부담


숨고 수수료 문제점

고객은 거래 금액의 3.5%를 숨고에 수수료로 내고 전문가는 없다고 하지만 견적 요청을 받으면 전문가는 견적비를 숨고에 내야 제출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카테고리마다 900~9,000원 이상의 수수료가 있습니다. 수수료는 전문가의 수익이 높은 카테고리가 높게 책정되는 것 같은데 어떤 방식이고 얼마인지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3. 위시켓(Wishket) 특징과 수수료

위시켓은 대한민국 대표 IT 아웃소싱 전문 플랫폼입니다. 

참고 글 - IT N잡러: 위시켓(Wishket) 수수료와 수주 전략 6가지


특징이자 장점은 ⓐ 고객이 프로젝트를 입력하면 전문가를 자동으로 매칭하는 시스템 ⓑ 프로젝트를 전문 관리자가 관리함 ⓒ IT 전문에 특화된 서비스 ⓓ 안전한 결제 시스템으로 사기 예방

단점은 ⓐ IT, 디지털 분야에 한정됨. ⓑ 프로젝트 규모가 큰 경우가 많아 초보자는 부담 ⓒ 프리랜서(파트너) 등급이 있어서 경쟁을 부추김 ⓓ 수수료가 10~20%로 높음


위시켓 수수료

클라이언트는 기본 무료, 프리미엄 서비스는 금액의 10%, 프리랜서(파트너)는 금액에 따라 아래와 같고

  • 프로젝트 500만 이하는 20%
  • 500만~1,000만 이하는 15%
  • 1,000만 이상은 10%

등급이 높으면 수수료는 10% 고정되고 여기에 추가로 세금 3.3%를 원천 징수하고 받게 됩니다.


4. 프립(Frip) 특징과 수수료

프립은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나 지식으로 다양한 액티비티를 개설하고 신청자에게 참가비를 받는 플랫폼입니다. 

프립-수수료와-잘하는-방법에-관한-글

프립 장점은 ⓐ 다양한 체험형 상품을 만들 수 있다는 점 (혼자 펜션 여행, 협탁 만들기 등) ⓑ 지역별 특색있는 상품 ⓒ 취미나 관심사가 비슷한 참여자를 만남

프립 단점은 ⓐ 취미와 체험 중심으로 전문성이 떨어짐 ⓑ 주최자 부담이 19.8%로 높음 ⓒ 주최자에 따라 만족도 차이가 큼 ⓓ 경쟁이 치열하여 부작용 발생

참고 - 취미로 돈버는 프립(Frip) 수수료와 수익 올리는 꿀팁

프립 수수료

주최자는 PG 수수료와 부가세를 포함하여 19.8%로를 부담함


5. 탈잉(Taling) 특징과 수수료

탈잉은 "talent + ing"으로 자신의 취미와 재능을 공유하는 플랫폼으로 1:1 강의부터 강의 영상을 만들어 판매하게 하거나 월 구독 상품 만들기, 전자책 제작 판매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탈잉-수수료와-강의-만들기-글

참고 - 강의 플랫폼 탈잉(Taling) 수수료와 강의 만드는 방법

특징과 장점 ⓐ 모두가 예상하는 강의부터 남자 친구 사로잡는 방법까지 정말 다양한 분야의 강의가 있음 ⓑ 온라인 강의를 지원함

단점은 ⓐ 경쟁 강사가 많아 신규 강사가 자리 잡기 어려움 ⓑ 플랫폼 이용 수수료가 높음. ⓒ 강의마다 퀼리티 차이가 있음


탈잉 수수료 (중계 위탁 수수료 건당)

  • 원데이 강의 15%, 다회차 강의 14%
  • 전자책과 VOD 20%
  • VOD B2B는 50%


6. 재능넷(Talentnet) 특징과 수수료

재능넷은 다양한 재능을 사고팔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과 장단점, 수수료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재능넷-디자인-부분-인기-상품

특징이자 장점

ⓐ 프로그래밍, 디자인, 번역, 글쓰기 등 다양한 분야의 재능 상품이 있고 가격 조정 기능이 있습니다. ⓑ 판매자가 부담하는 수수료가 15%로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 

재능넷 단점

ⓐ 진입 장벽이 낮아서 판매자마다 퀼리티 차이가 큽니다. 

재능넷 인기 상품

명함 전단지 현수막 제작, 패키지 디자인, 영어 번역, 포토샵 보정, 음원 편집, 홍보영상 제작, CI 디자인, 상세 페이지 제작, 3D 렌더링, 로고 디자인, 전문 번역, 자소서 첨삭, MR 제작, 사주 궁합, 고민 상담, 엑셀 매트로 작업, 논문 컨설팅, PPT 파워포인트 제작, 


재능넷 수수료

PG수수료와 SMS 발송, 이체수수료를 포함한 판매 수수료 15%


6. 사람인 긱, 마켓 특징과 수수료

오투잡(O2Jab)이 "사람인"에 인수되어 사람인 마쳇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개인이 보유한 다양한 재능을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사람인이 취업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라서 자소서 컨설팅, 이력서 작성 컨설팅, 취업 상담과 취업 사주 관련 상품이 인기 있습니다. 

수수료 

판매자는 당초 20%지만 현재 할인된 15% 수수료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25년 3월 11일 자로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합니다.


7. 스터디파이 (StudyPie) 특징

스터디파이(StudyPie)는 다양한 온라인 스터디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과 장단점, 수수료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개인이 직접 강의을 만드는 것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더 자세하게 조사하지 못했습니다.

특징은 ⓐ 다양한 스터디 주제의 스터디가 있으며 프로그래밍, 블록체인, 비즈니스 영어 등 다양합니다. ⓑ 모든 스터디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주간 과제를 수행하면 최대 50%까지 서비스 요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 코칭권이 포함된 패키지는 정해진 코칭 기간 동안 지정된 과제를 제출하고 코치의 1:1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평생교육 바우처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8. 마켓잇(Marketit) 특징

마켓잇(Marketit)은 인플루언서와 광고주를 연결하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입니다. 인플루언서는 자신의 SNS 채널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하고 광고 수익또는 제품, 서비스를 받습니다. 

마켓잇-Marketit-인플루언서

마켓잇은 참여를 신청하는 인플루언서의 광고 영향력을 수치화 평가하여 광고주에게 전달하고, 인플루언서에게는 제품 할인 외에 수수료와 저작권 판매 등 기타 수익을 제공합니다.

팔러워 1,000명 이상의 인플루언서는 마켓인에 협찬을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의 영향력과 조건에 따라 상품과 서비스, 광고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9. 라우드소싱 특징과 수수료

라우드소싱은 디자인이 필요한 의뢰자와 다수의 디자이너를 연결해 주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입니다.

의뢰자가 디자인 콘테스트(공모전)를 의뢰하고 디자이너들이 참여하여 최종 우승자를 정해지면 수수료를 제외한 우승 상금을 디자이너(참여자)가 받는 형식입니다. 마켓에 올라온 디자인 상품을 선택하는 방법도 있고 견적을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라우드소싱-공모전

콘테스트 카테고리

로고/브랜딩, 패키지/포장, 캐릭터, 네이밍/슬로건, 웹/모바일, 제품/공간, 편집/인쇄, 홍보/마케팅, 일러스트/그래픽. 영상/모션그래픽, 이미지 편집, 캘리그라피, 창업컨설팅

의뢰자 수수료

의뢰자는 콘테스트를 개최하고 상금을 부담하며 별도의 수수료는 없습니다. 콘테스트 개최 상금은 등급에 따라 다양합니다.

  • 실속형 최소 상금 35만 원~ (등록 수수료 27.5% 별도)
  • 일반형 최소 상금 65만 원~ (등록 수수료 22.5% 별도)
  • 고급형 최소 상금 105만 원~ (등록 수수료 17.5% 별도)
  • 프리미엄 최소 상금 190만 원~ (등록 수수료 12.5% 별도)

참여자 수수료

디자이너는 상금의 80.3%를 가상 계좌로 받고, 나머지 19.7%를 라우드소싱 수수료로 공제합니다. 


이상은 N잡러 프리랜서로 수익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 9곳의 특징과 부담하는 수수료 비교 정보입니다.